티스토리 뷰
목차
겨울철 난방비도 많이 나오는데 전기료도 무시 못하죠. 식기세척기에 건조기까지 돌리고 난방기구까지, 요즘 전기료 무섭습니다. 하지만 조금만 알면 우리 집 전기세 줄일 수 있습니다. 전기료 누진제 조금만 알고 신경 쓰시면 우리 집 전기료 확 내려갑니다..
한전on 앱의 전기요금 계산기로 매달매달 전기료 절약 시도해 보세요. 내가 계산한 전기료와 청구서에 반영된 전기료 비교해 보는 재미도 솔솔 있습니다. 전기요금 계산기 사용법 안내해 드릴게요.
전기요금 계산기 사용법(매우 쉬움)
한국전력공사(한전)에서 제공하는 '전기요금 계산기' 앱은 실시간 사용량을 기반으로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사용 방법
1. 앱 설치
- 스마트폰 앱 스토어에서 '전기요금 계산기'를 검색해서 한전on 앱을 설치합니다.
2. 계량기 값 입력
- 한전on 앱의 홈화면에 전기요금 계산기를 눌러서 계약종별 선택 후 '주거용'에 체크합니다. 요금 할인혜택을 선택하고 사용 시작일과 종료일을 선택, 사용량을 입렵해주면 끝입니다.
- 계약종별선택은 보통 일반 주택은 저압, 아파트는 고압이 많다고 합니다.
- 사용량 kWh에는 이달 사용량만 넣어야 정확하기 때문에 전월 계량기 지침값도 확인을 해야 합니다.
💡 전기 사용량을 알려면 계량기를 확인해야 합니다. 아파트는 집안에 있지만 보통 주택은 건물 입구나 옆쪽 외벽에 위치한 경우가 많습니다. 💡
이 앱을 활용하면 누진제 진입 여부를 예측하고,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매달 청구서 받아보고 전기세 많이 나왔다고 한탄하지 말고 누진제 적용 안되도록 조정해 보세요. 아래 누진세 구간 자세히 살펴보세요.
전기요금 누진세 구간 제대로 알자
한국전력공사의 전기요금 누진제는 전력 사용량에 따라 세 구간으로 나뉘며, 사용량이 많을수록 요금이 높아지는 구조입니다.
[ 2024년 기준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 요율 ]
전기요금 누진제는 사용량에 따라 요금 단가가 다르게 책정되므로, 450 kWh를 초과하면 급격히 요금이 상승합니다.
350 kWh 사용 시 누진세 요금 계산
1. 1단계 요금 (0~200 kWh) 기본요금: 910원
- 추가 요금: 200 kWh × 93.3원 = 18,660원
- 1단계 총 요금 = 910원 + 18,660원 = 19,570원
2. 2단계 요금 (201~350 kWh) 기본요금: 1,420원
- 추가 요금: 150 kWh × 187.9원 = 28,185원
- 2단계 총 요금 = 1,420원 + 28,185원 = 29,605원
3. 총 요금 (부가세 제외): 19,570원 + 29,605원 = 49,175원
4. 부가세와 전력산업기반기금 포함 계산
- 부가세 (10%):49,175원 × 1.10 = 54,092.5원
- 전력산업기반기금 (3.7%):54,092.5원 × 1.037 = 56,032.7원 ≈ 56,033원
350 kWh 사용 시 최종 금액: 약 56,033원 (부가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포함)
450 kWh 사용 시 누진세 요금 계산
1. 1단계 요금 (0~200 kWh) 기본요금: 910원
- 추가 요금: 200 kWh × 93.3원 = 18,660원
- 1단계 총 요금 = 910원 + 18,660원 = 19,570원
2. 2단계 요금 (201~400 kWh) 기본요금: 1,420원
- 추가 요금: 200 kWh × 187.9원 = 37,580원
- 2단계 총 요금 = 1,420원 + 37,580원 = 38,999원
3. 3단계 요금 (401~450 kWh) 기본요금: 1,670원
- 추가 요금: 50 kWh × 280.6원 = 14,030원
- 3단계 총 요금 = 1,670원 + 14,030원 = 15,700원
4. 총 요금 (부가세 제외): 19,570원 + 38,999원 + 15,700원 = 74,269원
5. 부가세와 전력산업기반기금 포함 계산
- 부가세 (10%): 74,269원 × 1.10 = 81,696원
- 전력산업기반기금 (3.7%):81,696원 × 1.037 = 84,715.4원 ≈ 84,715원
450 kWh 사용 시 최종 금액: 약 84,715원 (부가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포함)
최종 요약
350 kWh 사용 시 최종 전기요금: 약 56,033원 (부가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포함) 450 kWh 사용 시 최종 전기요금: 약 84,715원 (부가세 + 전력산업기반기금 포함) 이렇게 계산된 금액은 부가세와 전력산업기반기금을 포함한 최종 전기요금입니다.
한전ON(한전온)
전기요금 조회·납부, 명의변경, 고객상담 등 전기사용 관련 고객서비스를 제공하는 한전의 대표 플랫폼
online.kepco.co.kr
전기요금 확인 방법
계산하기 귀찮다는 분들은 전기요금 조회로 바로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기요금 확인방법전기요금 확인 방법은 주거 형태와 계량기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집합건물(아파트, 오피스텔 등)
1. 월패드 설치 세대
- 세대 내 월패드를 통해 실시간 사용량을 확인합니다.
- 일부 월패드는 전용 모바일 앱으로도 요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월패드 미설치 세대
- 관리사무소에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 참여 여부를 문의합니다.
- 사업 참여 시, 전용 앱을 설치해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기타 세대
- 계량기를 통해 사용량을 확인 후, '전기요금 계산기' 앱을 이용해 요금을 직접 계산합니다.
한전에서 청구되는 세대
1. 원격검침계량기 설치 세대
- '한전on' 또는 '파워플래너' 앱을 설치해 실시간 사용량과 요금을 확인합니다.
2. 원격검침계량기 미설치 세대
- 계량기로 사용량을 확인한 후, '전기요금 계산기'를 활용합니다.
겨울철 전기요금 절약 팁
겨울철에는 난방기기뿐 아니라 식기세척기, 건조기 같은 가전제품 사용으로 전기요금이 크게 늘어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간단한 방법으로 효율적으로 전기요금을 관리하세요.
1. 난방기기 사용 관리
- 온도 유지: 실내 온도를 20~22도로 유지하며 과도한 난방을 피합니다.
- 에너지 효율 제품: 전기히터나 전기장판 등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은 제품을 사용하세요.
- 사용 시간 조절: 난방 기기는 꼭 필요한 시간대에만 작동하고, 외출 시에는 전원을 꺼두세요.
2. 식기세척기와 건조기 절약 방법
- 식기세척기: 한 번에 가득 채워 작동하고, 저온 세척이나 에코 모드를 사용하세요.
- 건조기: 빨래는 충분히 탈수 후 넣고, 건조기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 전력 소모를 줄이세요.
3. 대기전력 차단
- 스마트 콘센트를 사용해 대기전력을 줄이고, 사용하지 않는 전자제품의 플러그는 뽑아 두세요.
4. 전력 소비 시간대 조절
- 전력 사용이 많은 시간대(오전 10시~12시, 오후 6시~9시)를 피하고, 야간 요금제가 적용된다면 밤 시간에 사용을 집중하세요.
5. 전기요금 계산기로 관리
- 전기 사용량을 꾸준히 점검하고, 누진제 구간에 진입하지 않도록 계획적으로 소비하세요.
이 간단한 팁을 실천해 겨울철에도 부담 없는 전기요금을 유지하세요!